지식재산권

특허의 이해 4

hiyajung 2025. 1. 30. 18:07
반응형

국제특허분류

국제특허분류의 성립배경

  • 미국(USPC), 일본(JPC), 유럽(ECLA) 등 각국마다 다른 분류체계를 사용하여 왔으나, 국제적으로 통일된 특허 분류체계가 필요함에 따라 1968년에 국제특허분류(IPC)가 도입되었습니다.

국제특허분류의 목적

  • 특허문헌을 체계적으로 정리해서, 특허문헌에 포함되어 있는 기술 및 권리정보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게 하기 위함입니다.
  • 특허정보의 모든 이용자에게 정보를 선택적으로 보급하기 위함입니다.
  • 주어진 기술분야에서 공지기술을 조사하기 위함입니다.
  • 여러 영역에서의 기술발전을 평가하는 공업소유권 통계를 내기 위함입니다.

국제특허분류의 구조

  • 섹션, 클래스, 서브클래스 및 메인그룹 또는 서브그룹의 계층구조로 이루어짐예) F16K 1/00(or 1/02)의 경우국제특허분류의 구조 표국제특허분류의 구조 정보를 나타내는 표이며, 분류기호, F, -, 16, K, 1/100, 1/20 로 구성되어있습니다.분류기호F-16K1/1001/20 
    구분 섹션 서브섹션 클래스 서브클래스 메인그룹 서브그룹
    분류타이틀 기계공학 공업일반 기계요소 밸브 리프트밸브 나사스핀들
  • 섹션, 클래스, 서브클래스 및 메인그룹 또는 서브그룹의 계층구조로 이루어집니다.
    • A 섹션 - 생활필수품
    • B 섹션 - 처리조작, 운수
    • C 섹션 - 화학, 야금
    • D 섹션 - 섬유, 종이
    • E 섹션 - 고정구조물
    • F 섹션 - 기계공학, 조명, 가열, 무기, 폭파
    • G 섹션 - 물리학
    • H 섹션 - 전기
  • 세부내용은 특허청 홈페이지 메인화면의 '분류코드 조회' 또는 WIPO 홈페이지를 참조할 수 있습니다. (www.wipo.int/classifications/ipc/en/)

 

선진특허분류

선진특허분류(CPC) 소개

  • CPC는 국제특허분류(IPC)보다 세분화된 특허분류체계입니다. 효율적인 선행기술조사를 위해 미국, 유럽 특허청 주도로 2012년 개발되었고, 우리나라는 2015년 1월 이후 신규출원에 IPC와 CPC를 함께 부여하고 있습니다.
  • 세부내용은 특허청 홈페이지 메인화면의 ‘분류코드 조회’ 또는 CPC 홈페이지를 참조할 수 있습니다. www.cooperativepatentclassification.org

 

국제기구 및 국제조약

세계지식재산기구(WIPO,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 산업재산권 문제를 위한 파리협약(1883), 저작권 문제를 위한 베른조약(1886), 특허협력조약 및 특허법조약 등을 관리 하고 지식재산권 분야의 국제협력을 위하여 1967년 스톡홀름에서 체결하고 1970년에 발효한 세계 지식재산기구설립조약에 따라 설립되었습니다. → '74년 국제연합의 전문기구가 되었습니다.
  • 회원국 : 184개국 (한국은 '79년 3월에 가입)
  • WIPO의 주요 임무
    • 지적재산권의 효율적 보호를 촉진합니다.
    • 지식재산권 관련 조약의 체결, 운용 및 각국 법제의 조화를 도모합니다.
    • 개발도상국에 대한 법제,기술측면의 원조를 실시합니다.
  • WIPO 구성일반총회, 체약국회의, 조정위원회, 국제사무국 4개 기구

파리협약(Paris Convention)

  • 산업재산권의 국제적 보호를 위하여 1883년 파리에서 체결했습니다.
    • 각국의 특허제도상의 차이를 인정하면서 중요한 사항에 대하여 국제적으로 통일된 규범을 규정합니다.
    • ※ 우리나라는 '80년 5월에 가입했으며, 가맹국은 172개국입니다.
  • 주요내용
    • - 특허독립의 원칙 (속지주의)
    • 동일한 발명에 대하여 복수의 동맹국에서 특허를 부여받았다 하더라도 그 특허는 각각 독립적으로 존속, 소멸합니다.(회원국의 Sovereignty 인정)
    • - 내외국인 동등의 원칙
    • 동맹국의 국민을 자국민 수준으로 대우합니다.(각국은 자국산업의 보호를 위하여 외국인에 대해서는 특허를 부여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음)
    • - 우선권제도
    • 원국에 출원(선출원)한 자가 동일한 발명을 1년 이내에 타 회원국에 우선권을 주장하면서 출원(후출원)하는 경우후출원의 특허요건을 판단함에 있어서, 선출원의 출원일에 출원된 것으로 취급하는 제도입니다. → 외국에 출원하는 경우, 거리,언어,절차상의 제약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출원인의 불이익을 해소합니다.

특허협력조약(PCT: Patent Cooperation Treaty)

  • 파리조약 제19조에 따른 특별협정의 하나로서 국제적인 특허출원 절차요건의 통일화에 주안점을 두고 1970년 워싱턴에서 개최된 외교회의에서 채택되어 1978년 1월 24일 발효됩니다.
  • PCT에 의한 국제출원은 출원인이 국제사무국 또는 자국 특허청(수리관청)에 특허를 받고자 하는 국가를 지정하여 PCT 국제출원서를 제출하면 각 지정국에서 정규의 국내출원으로 인정해주는 제도입니다.
  • 자세한 사항은 특허마당 → PCT 참고할 수 있습니다.

특허법조약(PLT : Patent Law Treaty) 및 특허실체법조약(SPLT : Substantive Patent Law Treaty)

  • 특허법 통일화의 논의각국 특허제도의 절차적 및 실체적 사항을 통일함으로써 다른 나라에서의 특허취득을 원하는 출원인의 편의성을 제고하고 비용절감을 도모하기 위한 국제적인 논의입니다.
  • 논의경과86년 이후 90년까지 8차에 걸친 회의 개최를 통하여 조약 기본안 (Draft Patent Harmonization Treaty)이 마련되었으나, 클린턴정부 출범 이후 미국이 선발명주의 고수입장으로 회귀함에 따라 조약 타결에 실패했숩니다.
  • 주의 고수입장으로 회귀함에 따라 조약 타결에 실패했습니다.
    • '95년 이후 WIPO의 주도로 통일화에 장애가 되는 실체적 사항을 제외하고 논의를 진행한 결과, 2000. 6월 절차적 사항에 관한 조약인 특허법조약이 타결됨
    • ※ 10개국이 가입하면 조약발효 (2005. 7. 28. 발효), 2012. 5. 현재 32개국 가입
    • 특허법조약의 주요내용
    • 출원일 설정 기준
    • 출원서류의 서식 및 작성방법
    • 제출서류의 서식, 언어 및 표기사항
    • 기간의 연장 및 권리의 복원
    • 우선권 주장의 정정 및 추가 등
  • 2000년 11월 이후 WIPO는 특허요건 판단기준 등 실체적 사항을 통일하기 위하여 특허실체법조약안을 마련하고 특허법상설위원회 (Standing Committee on the Law of Patents : SCP)를 중심으로 조약안을 논의했습니다.
    • 특허실체법조약안의 주요내용
    • 명세서의 내용 및 순서
    • 선행기술
    • 특허요건(특허대상, 신규성, 진보성)
    • 보정 및 정정 등
  • 특허실체법조약의 타결 전망
  • WIPO는 그간의 SPLT 논의과정에서 각국이 제기한 의견을 종합하여 수정조약안을 작성하였으나, 전통지식 및 유전자원 문제가 새로운 변수로 부각되고 있어 단기간 내의 타결 전망은 불투명합니다.

 

PCT국제출원 → 자세한 사항은 특허마당 PCT 참고

PCT 국제출원의 개요

특허협력조약(Patent Cooperation Treaty; PCT)에 의한 국제출원은 출원인이 자국 특허청(수리관청)에 특허를 받고자 하는 국가를 지정하여 PCT 국제출원서를 제출하면 각 지정국에서 정규의 국내출원으로 인정해 주는 제도로서, 2008.10.1 현재 139개국이 가입되어 있습니다.

PCT 국제출원의 절차

  • 국제출원이 접수되면 수리관청에서 서류작성의 적정여부 등에 대한 방식심사(접수 후 1월 이내, 우선일 부터 13월경)를 합니다.
  • 국제조사기관에서 선행기술조사 및 특허성에 관한 검토를 하여 그 결과를 "국제조사보고서" 및 "견해서"로 작성(조사용사본의 수령통지일부터 3월 또는 우선일 부터 9월 중 늦은 때까지이며, 통상 우선일 부터 16월경)하여 출원인 및 국제사무국에 통보합니다.
  • 국제사무국에서는 우 선일 부터 18월경과 후 국제출원 일체 및 국제조사보고서에 대하여 국제공개를 합니다.
  • 별도의 선택적 절차인 국제예비심사를 청구하는 경우(통상 우선일 부터 22월) 국제예비심사기관은 특허성에 관한 예비적인 심사를 하여 그 결과를 "특허성에 관한 국제예비보고서(PCT 제2장)"으로 작성하여 출원인에게 통보합니다.(통상 우선일 부터 28개월 시점)
  • 출원인은 상기 보고서 등을 기초로 실제 특허를 얻고자 하는 국가에 국제출원의 번역문 및 국내수수료 등을 납부하는 국내단계에 진입(통상 우선일 부터 30개월 이내)하여 해당 지정국에서 특허 심사절차를 밟게 됩니다. 우리나라는 우선일로부터 31개월 이내에 국내 단계절차를 밟아야 합니다.
  • ※ 우리나라 특허청을 수리관청으로 하여 출원하는 출원인은 국제조사기관으로 한국,오스트리아,호주,일본 특허청(일본어 출원에 한함)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국제예비심사기관으로는 한국,오스트리아,일본 특허청(일본에서 국제조사를 받은 경우에 한함)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 국외 PCT국제출원 중 우리나라를 국제조사기관으로 지정한 나라는 필리핀, 베트남, 인도네시아, 몽고, 뉴질랜드, 미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스리랑카, 호주, 칠레, 페루, 태국이 있습니다.

PCT 국제출원에 필요한 서류

  • PCT 국제출원을 하기 위해서는 Request(국제출원서), 명세서, 청구범위, 요약서, 도면(있는 경우), 서열목록(해당하는 경우)으로 이루어진 국제출원 관련 서류를 별도로 제출해야 합니다. 국내출원시 제출한 서류를 그대로 제출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하여야 합니다.
  • 명세서도 국내출원과 달리 PCT규칙에서 규정하는 기술순서에 따라 작성하여야 하며, 국내 출원과 달리 명세서와 청구범위를 구분하여 별도로 작성하여야 합니다. 국제출원서(Request)는 반드시 한국어, 영어 또는 일본어(일본어 출원의 경우)로 작성하여야 합니다.
 
반응형

'지식재산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드리드 시스템 소개  (0) 2025.01.30
실용신안의 이해  (0) 2025.01.30
특허의 이해 3  (0) 2025.01.30
특허의 이해 2  (0) 2025.01.26
특허의 이해 1  (0) 2025.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