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등록 8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 상표 등록료

등록지식재산권 등록은 인간의 지적 창작물에 대해 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받는 절차를 말합니다. 지식재산권 등록은 특허청에 출원 후 심사를 거쳐 이루어집니다.지식재산권에는 특허권, 실용신안권, 디자인권, 상표권이 있습니다. 특허·실용신안·디자인 등록료설정등록료정상납부 기간은 특허결정, 등록결정 또는 등록심결의 등본을 받은 날부터 3개월 이내입니다.추가납부 기간은 정상납부 기간이 지난 날부터 6개월이내입니다.※ 6개월의 추가납부 기간까지도 납부하지 않을 경우 등록포기로 간주합니다.연차등록료추가납부 기간은 정상납부 기간이 지난 날부터 6개월이내입니다.권리회복은 추가납부 기간(또는 보전기간)의 만료일부터 3개월 이내이며, 연차등록료의 2배 상당액을 납부해야합니다.정상납부 기간이 경과하지 않은 연차등..

지식재산권 2025.02.02

상표 출원 가이드

견본준비상표견본은 가로, 세로의 길이에 구분없이 A4용지 안에 작성합니다.다만, 색채 또는 색채의 조합만으로 된 상표는 가로 8㎝ × 세로 8㎝의 빈 사각형을 테두리로 하여 사각형 내에 채색해야 합니다. 선출원 선등록상표조사상표등록출원을 하고자 하는 분은 출원서 작성에 앞서, 자신이 출원하여 등록받고자하는 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상표의 선출원·선등록 여부를 특허청 홈페이지(www.kipo.go.kr) 검색창을 통해 검색을 하거나 한국특허정보원(www.kipris.or.kr)의 검색창을 통해 해당출원의 등록가능 여부를 조사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허고객번호부여신청특허청에 처음으로 특허출원 등의 절차를 밟고자 하는 자연인과 법인은 특허청에 특허고객번호부여신청(반드시 인장날인 또는 서명)을 하여 특허고객번호를..

지식재산권 2025.02.02

디자인 출원 가이드

선행디자인심사 자료조사선행기술조사특허출원을 하려는 분은 출원서류 작성에 앞서, 동 발명과 동일·유사한 발명의 선출원·선등록 여부를 특허청 홈페이지(www.kipo.go.kr) 검색창을 통해 특허정보검색을 하거나 한국특허정보원(www.kipris.or.kr)의 검색창을 통해 해당출원의 사전등록가능 여부를 조사하는 것이 좋습니다. (※ 선행기술조사는 의무사항이 아님)※ 검색 문의 : 특허청 1544-8080, 한국특허정보원 (www.kipris.or.kr) : 042-483-4710 특허고객번호부여신청특허청에 처음으로 특허출원 등의 절차를 밟고자 하는 자연인과 법인은 특허청에 특허고객번호부여신청(반드시 인장날인 또는 서명)을 하여 특허고객번호를 부여받아야 합니다.이 특허고객번호는 향후 특허 등에 관한 절차를..

지식재산권 2025.02.02

등록이란?

지식재산권특허권, 실용신안권, 디자인권, 상표권을 총칭하는 개념입니다.특허청에 '출원' 후 '심사'단계를 거쳐 '등록'받으면 권리자에게 배타적 독점권이 부여됩니다. 등록[특허·실용신안·디자인·상표]에 관한 [권리의 발생 / 변경 / 소멸 / 기타 특허권에 대한 일정한 사항]을 [특허청장의 직권 / 당사자의 신청 / 법원 등 국가기관의 촉탁]에 의하여 특허청에 비치한 '등록원부'에 기재하는 것 또는 기재된 사항을 총칭합니다. 등록원부등록원부란 특허청장이 산업재산권 및 그에 관한 권리에 대하여 법령에서 정하는 소정의 등록사항을 기재하기 위하여 특허청에 비치하는 공적장부를 말합니다.산업재산권에 관한 등록원부에는 다음의 4종류가 있으며, 각 등록원부에는 신탁원부가 별도로 존재합니다.특허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 ..

지식재산권 2025.02.02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을 위한 지식재산권 전략

지식재산권(IP, Intellectual Property)은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이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보호하고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초기 단계의 기업일수록 기술력과 창의성이 중요한 자산이 되며, 이를 보호하지 않으면 대기업이나 경쟁업체에 의해 도용될 위험이 커집니다. 따라서 특허, 상표, 디자인, 저작권 등 지식재산권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이 글에서는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이 지식재산권을 어떻게 활용하고 보호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기업 성장과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지식재산권의 종류 및 중요성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이 보호해야 할 주요 지식재산권은 다음과 같습니다.특허권특허는 새로운 발명이나 기술을 일정 기간 독점적으로 보호하는 제도입니다..

지식재산권 2025.01.31

마드리드 시스템 소개

상표의 해외출원방안외국에서 상표를 보호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우리나라에서 상표를 보호받으려면 우리나라 상표법에서 규정하는 절차에 따라 상표등록을 받아야 하는 것처럼, 원칙적으로 해당 국가에서 상표를 보호받으려면 각국의 법과 절차에 따라 상표를 등록받아야 합니다. 외국에 상표를 등록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우선 상표를 등록받고자 하는 대상국이 어디냐에 따라서 상표를 출원할 수 있는 방법이 다릅니다. 해외로 상표를 출원할 수 있는 방법을 크게 구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상표를 보호받기 원하는 개별국가에 직접 출원하는 방법입니다. 통상 파리협약에 의한 우선권을 주장하여 출원하므로, 이를 "파리루트에 의한 상표출원"이라고도 하며, 해당 국가의 법과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둘째, 독자적인 상표청이 없..

지식재산권 2025.01.30

디자인의 이해 3

디자인 출원디자인등록출원(법제37조)① 디자인등록을 받으려는 자는 다음의 사항을 적은 디자인등록출원서를 특허청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디자인등록출원인의 성명 및 주소(법인인 경우에는 그 명칭 및 영업소의 소재지)㉡ 디자인등록출원인의 대리인이 있는 경우에는 그 대리인의 성명 및 주소나 영업소의 소재지(대리인이 특허법인ㆍ특허법인(유한)인 경우에는 그 명칭, 사무소의 소재지 및 지정된 변리사의 성명)㉢ 디자인의 대상이 되는 물품 및 물품류㉣ 단독의 디자인등록출원 또는 관련디자인의 디자인등록출원 여부㉤ 기본디자인의 디자인등록번호 또는 디자인등록출원번호(관련디자인으로 디자인등록을 받으려는 경우만 해당)㉥ 디자인을 창작한 사람의 성명 및 주소㉦ 제41조에 따른 복수디자인등록출원 여부㉧ 디자인의 수 및 각 디자인의..

지식재산권 2025.01.26

디자인의 이해 1

디자인보호법의 목적(법제1조)디자인의 보호와 이용을 도모함으로써 디자인의 창작을 장려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디자인의 정의(법제2조)"디자인"이란 물품[물품의 부분 및 글자체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의 형상ㆍ모양ㆍ색채 또는 이들을 결합한 것으로서 시각(視覺)을 통하여 미감(美感)을 일으키게 하는 것을 말한다.㉠ "글자체"란 기록이나 표시 또는 인쇄 등에 사용하기 위하여 공통적인 특징을 가진 형태로 만들어진 한 벌의 글자꼴(숫자, 문장부호 및 기호 등의 형태를 포함한다)을 말한다. 디자인의 성립요건(법제2조)디자인의 성립요건에는 물품성, 형태성, 시각성, 심미성이 있다.㉠ 물품이란 독립거래가 가능한 구체적인 물품으로서 유체동산을 원칙으로 한다.㉡ “형상ㆍ모양ㆍ색채”란 물품의 외관에 관한 ..

지식재산권 2025.01.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