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34

[SH] 장기전세주택이란?

장기전세주택장기전세주택은 무주택 서울시민의 주거안정을 위하여 주변시세의 80퍼센트 이하의 전세보증금으로 공급하는 분양전환 되지 않는 공공임대주택입니다. 공통 신청자격입주자 모집공고일 현재 서울특별시에 거주하며, 본인과 세대원(본인과 동일한 주민등록등본상에 등재 되어 있지 아니한 배우자 및 그 세대원 포함) 전원이 무주택인 세대구성원으로서 아래의 소득 및 자산보유 기준에 해당되는 자세대원 수에 따라 신청가능 한 주택의 면적이 제한될 수 있으며, 단독세대주[본인의 주민등록표등본상에 본인 외 세대구성원(직계존비속, 배우자)이 없는 사람]는 전용면적 50㎡이상의 주택은 신청 불가합니다. 해당 내용은 관련 법령 개정 등에 따라 향후 변동될 수 있습니다. 소득기준전용면적 60㎡이하 :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

[인천/대전/광주 청약 일정] 2025년 2월 셋째 주

2025년 2월 셋째 주는 인천, 대전, 광주 부동산 시장에서 청약 일정이 예정되어 있어, 내 집 마련을 꿈꾸는 분들에게 중요한 시기가 될 것입니다. 아래는 해당 주간의 주요 청약 일정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인천] e편한세상 동인천 베이프런트 위치 : 인천광역시 중구 사동 23-4번지 일원 공급유형 : 임의공급청약접수 : 2025-02-17 당첨자 발표일 : 2025-02-21 계약일 : 2025-02-22 입주예정월 : 2028년 04월 e편한세상 동인천 베이프런트e편한세상 동인천 베이프런트 신포역 초역세권과 오션뷰를 누리는 프리미어 라이프 | 아파트 총 579세대 오피스텔 총 88실www.elife-premium.com [대전] 대전 롯데캐슬 더퍼스트 위치 : 대전광역시 동구 가오동 394번지 일..

[경기 청약 일정] 2025년 2월 셋째 주

2025년 2월 셋째 주는 경기 부동산 시장에서 다양한 청약 일정이 예정되어 있어, 내 집 마련을 꿈꾸는 분들에게 중요한 시기가 될 것입니다. 아래는 해당 주간의 주요 청약 일정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광주태전 경남아너스빌 리미티드(2차) 위치 : 경기도 광주시 장지동 695-14번지 일원 공급유형 : 무순위청약접수 : 2025-02-17 당첨자 발표일 : 2025-02-20 계약일 : 2025-02-22 입주예정월 : 2027년 8월 광주태전 경남아너스빌 리미티드5년의 기다림, 태전지구의 완성! 내 삶이 달라질 New Life Scale 광주태전 경남아너스빌 리미티드 문의 | 1555-5404gjtj-honorsville.kr  곤지암역 센트럴 아이파크 위치 :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곤지암리 637..

[서울 청약 일정] 2025년 2월 셋째 주

2025년 2월 셋째 주는 서울 부동산 시장에서 다양한 청약 일정이 예정되어 있어, 내 집 마련을 꿈꾸는 분들에게 중요한 시기가 될 것입니다. 아래는 해당 주간의 주요 청약 일정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서울은평뉴타운 디에트르 더 퍼스트 위치 :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 149-4 일원(은평뉴타운 3-14BL)공급유형 : 공공지원민간임대청약접수 : 2025-02-17 ~ 2025-02-18당첨자 발표일 : 2025-02-21계약일 : 2025-02-26입주예정월 : 2025년 6월 은평뉴타운 디에트르은평뉴타운 디에트르 공식홈페이지detre-ep.co.kr  어반클라쎄목동(6차) 위치 :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목로2길 7-12 (신정동, 어반클라쎄 목동) 공급유형 : 무순위청약접수 : 2025-02-17 ~ ..

특허료, 등록료 및 수수료의 감면 안내

감면 대상 수수료출원료, 심사청구료, 최초 3년분의 특허(등록)료, 4년차분 이후의 특허(등록)료, 우선심사신청료(특허), 출원인변경신고료, 권리의 이전등록료(특허·실용신안), 질권의 설정등록료(특허·실용신안), 적극적 권리범위확인심판청구료를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상표는 감면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신청방법출원·심사청구·권리설정등록, 심판청구 등 신청시의 서면(출원서, 심사청구서, 납부서 등)에 감면사유를 기재하고 해당 증명서류를 제출해야합니다. 100% 면제대상 및 증명서류대상 수수료 : 출원료, 심사청구료, 최초 3년분의 특허(등록)료면제대상요건증명서류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의료급여 수급자발명(고안 · 창작)자가 출원인 · 특허권자 · 실용신안권자 또는 디자인권자와 같은 경우에 한함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

지식재산권 2025.02.02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 상표 등록료

등록지식재산권 등록은 인간의 지적 창작물에 대해 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받는 절차를 말합니다. 지식재산권 등록은 특허청에 출원 후 심사를 거쳐 이루어집니다.지식재산권에는 특허권, 실용신안권, 디자인권, 상표권이 있습니다. 특허·실용신안·디자인 등록료설정등록료정상납부 기간은 특허결정, 등록결정 또는 등록심결의 등본을 받은 날부터 3개월 이내입니다.추가납부 기간은 정상납부 기간이 지난 날부터 6개월이내입니다.※ 6개월의 추가납부 기간까지도 납부하지 않을 경우 등록포기로 간주합니다.연차등록료추가납부 기간은 정상납부 기간이 지난 날부터 6개월이내입니다.권리회복은 추가납부 기간(또는 보전기간)의 만료일부터 3개월 이내이며, 연차등록료의 2배 상당액을 납부해야합니다.정상납부 기간이 경과하지 않은 연차등..

지식재산권 2025.02.02

상표 출원

상표상표는 자신의 상품과 타인의 상품을 구별하기 위하여 상품에 부착하거나 광고 등을 위해 사용하는 표장으로 상품의 동일성을 표시하는 "출처표시의 기능"을 주된 기능으로 하며, 이밖에 품질보증적 기능, 광고적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1상표 1출원상표등록출원을 하려는 자는 상품류의 구분에 따라 1상품류 이상의 상품을 지정하여 상표마다 출원하여야 하고 업무표장은 지정업무를 정하여 출원하여야 합니다.이 경우 상품 및 서비스업을 하나의 출원서에 동시에 지정할 수 있습니다. 상표등록출원료는 1상품류를 기본 출원료로 하고, 1상품류당 지정상품수가 기본상품수(20개)를 초과하는 경우 지정상품당 2천원의 가산료를 부과합니다. 그리고 1상품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1상품류 구분마다 출원료를 가산하여 계산됩니다. 상표의 구..

지식재산권 2025.02.02

상표 출원 가이드

견본준비상표견본은 가로, 세로의 길이에 구분없이 A4용지 안에 작성합니다.다만, 색채 또는 색채의 조합만으로 된 상표는 가로 8㎝ × 세로 8㎝의 빈 사각형을 테두리로 하여 사각형 내에 채색해야 합니다. 선출원 선등록상표조사상표등록출원을 하고자 하는 분은 출원서 작성에 앞서, 자신이 출원하여 등록받고자하는 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상표의 선출원·선등록 여부를 특허청 홈페이지(www.kipo.go.kr) 검색창을 통해 검색을 하거나 한국특허정보원(www.kipris.or.kr)의 검색창을 통해 해당출원의 등록가능 여부를 조사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허고객번호부여신청특허청에 처음으로 특허출원 등의 절차를 밟고자 하는 자연인과 법인은 특허청에 특허고객번호부여신청(반드시 인장날인 또는 서명)을 하여 특허고객번호를..

지식재산권 2025.02.02

디자인 출원 가이드

선행디자인심사 자료조사선행기술조사특허출원을 하려는 분은 출원서류 작성에 앞서, 동 발명과 동일·유사한 발명의 선출원·선등록 여부를 특허청 홈페이지(www.kipo.go.kr) 검색창을 통해 특허정보검색을 하거나 한국특허정보원(www.kipris.or.kr)의 검색창을 통해 해당출원의 사전등록가능 여부를 조사하는 것이 좋습니다. (※ 선행기술조사는 의무사항이 아님)※ 검색 문의 : 특허청 1544-8080, 한국특허정보원 (www.kipris.or.kr) : 042-483-4710 특허고객번호부여신청특허청에 처음으로 특허출원 등의 절차를 밟고자 하는 자연인과 법인은 특허청에 특허고객번호부여신청(반드시 인장날인 또는 서명)을 하여 특허고객번호를 부여받아야 합니다.이 특허고객번호는 향후 특허 등에 관한 절차를..

지식재산권 2025.02.02

지식재산경영인증

지식재산경영특허, 실용신안, 디자인, 상표, 영업비밀 등 지식재산을 기업의 자산으로 활용하는 경영전략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믕로써 기업의 가치를 높이는 경영 활동을 의미합니다. 사업목적지식재산경영을 모범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기업의 자긍심을 높이고 대외 인지도를 제고하여, 중소기업의 자발적인 지식재산경영 도입을 유도합니다. 인증대상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의 경우 지식재산경영인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인증기준지식재산 담당조직 및 인력(10점)지식재산권 관련 전담부서 보유한 경우 10점전담인력 보유한 경우 인당 6점겸임인력 보유한 경우 인당 3점 (최대 6점)전담인력 1명과 겸임인력 보유한 경우 9점직무발명활성화(5점)직무발명보상 우수기업 선정시 : 5점그 외 기업은 직무발명제도 보상규정보유 : 2..

지식재산권 2025.02.02
반응형